2011년 7월 19일 화요일

미국 정부 부채한도 증액 문제

미국의 경우 정부부채한도를 법률로 정해 놓기 때문에 
부채(국가 채권 발행)를 늘리기 위해서 의회의 동의가 필요하다.
=>신문기사 내용
1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무디스의 스티븐 헤스 선임연구원은 이날 발행된 '위클리 크레딧 아웃룩'을 통해 "미 재무부는 의회 합의 전까지 추가 국채 발행이 불가능하며 8월2일까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국 정부는 공공지출을 큰 폭으로 줄이는 것 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으며 이는 부채 상환능력까지 제한할 것"이라고 말했다.

딜레마에 빠진 달러헤게모니
 상황이 이렇게 된 근원에는 달러가 미국이라는 한 나라의 통화인 동시에 전세계의 기축통화로 기능하면서 발생하는 긴장관계가 존재한다달러를 국제 기축통화로 삼는 현 국제경제질서는 달러가 국제시장에서 신뢰를 잃는 즉시 붕괴할 수밖에 없다
미국은 달러를 계속 찍어 내 유동성 부족을 막아야 한다그러지 않으면 한국이나 중국 같은 무역상대국의 경상수지를 악화시켜 세계경제 위축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미국의 무역흑자는 세계 유동성 부족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미국에 경상수지 적자는 필연적이다.
 하지만 경상수지 적자가 계속되면 달러가 세계시장에 너무 많이 풀리면서 달러 가치가 떨어져 기축통화로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바로 미국의 대외부채가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달러가치가 하락하고 이는 다시 미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현 상황의 핵심이다현재 미국은 달러의 역설을 표현한 트리핀의 딜레마에 빠져 있다. (자작나무 님 블로그에서)

이제 조금더 넓은 바다로 나가 보자.
 달러의 약세는 미국의 약세이다. 미국이라는 부자집안이 기울러지기 시작했다. 미국이 이 모양이 된 것은 이번만이 아니었다. 1930년대 미국은 대공항을 맞이한다. 경제가 파탄이 나버린 미국의 옛날의 모습니다. 과연 미국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 까.
 흔히 이때 등장하는 경제 이론인 뉴딜 정책이다. 댐을 짓고 사회 간접자본을 늘린다. 이제 이 글을 읽고 있는 분은 한가지 놀라운 사실에 놀라 자빠질 것이다. 경제가 파탄났는데 댐을 짓는 다는게 말이 된다 말인가! 말이 된다. 국가가 경제 위기라는 것이 국민이 거지라는 것은 아니다. 돈은 있지만 쓰지 않은 것이다. 즉, 개인이 필요이상의 돈을 들고 있을 때 여분은 지하 속 깊숙히 존재을 감추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서서히 사회는 동맥경화로 쓰러지게 된다.
 자산 = 부채 + 자본 이라는 공식을 이해했으니라 싶다.


 이제 조금 더 속력을 내보자.
 미국은 웃좋게도 유럽대항전을 받이 하게 된다. 웃긴 애기지만 일본이 이야기에 변두리에 끼면서 이야기는 세계대전이 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미국은 세계대전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한다. 이후로 미국은 급속도록 발전해서 세계에서 2개의 물건이 말들어지면 1개는 미국이 만든 것이었다. 동시에 승전국으로써 패전국의 과학기술 또한 많은 부분 헐값에 가져 온다. 미국의 신화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즉 전쟁 기간 동안 소비가 일어나 미국은 전쟁을 통해서 뒤에서 물품을 팔아먹고 본토에 폭탄 한발 안떨어지고 승전국이 되어 헐값이 물건을 가져 온다. 전쟁기간 물품을 팔아먹어야 하므로 공장은 지어지고 자본가들은 당연히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지하에 있던 돈을 퍼담아 공중에 뿌린다. 그러면 빈민들을 그것을 먹고 쑥쑥 자라 중산층이 된다. 자연스럽게 소득분배가 이루어지고 상향평준화 국가가 이룩해진다. 


이제 우리는 미국이 굉장한 부자라는 것을 알았다. 이후 그들의 모습을 보자
 미국의 자본가들은 이득을 더욱 얻고 싶었다. 분배는 그들에게 좋은 이야기가 아니었다. 비용 최소화를 통한 이윤극대화 모든 자산가들의 생각일 것이다. 더욱이 우리에게는 주식이라는 좋은 제도가 있어서 왠만한 중산층도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었다. 이제 비용을 최소하기 위해 미국의 기업은 후진국으로 공장을 옮겨서 인건비를 줄이기 시작한다. 
 미국인들은 너무 신난 나머지 노래를 불렀지만 모든 문제의 시작은 바로 그때 부터였다. 고용없는 성장, 재조업의 붕괴, 아무리 비싸도 확실이 차이가 나는 성능, 미국 제품이라는 made in USA 글귀가 어떠한 메이커 보다 높이 평가 받던 시대가 끝이 난 것이다. 소수가 모든 부를 쟁취하는 사회는 하락새로 돌아선다.
 

 빈부격차가 심한 사회는 좋지 못하다. 
 말하고자 하는 것은 원론적 이야기가 아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 가다. 
 부자들이 이꺼이 지갑을 열 수 있도록 발전하는 것 밖에 없다. 다시 공산주의를 펼 수 없는 거 아닌가. 기술을 발전시키고 다수의 일자리를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 만이 길이지만 언제는 속도는 빈부격차의 이격보다가 늦으니 문제이다. 그러나 인류가 아이디어로 진화를 한다는 것에 기대를 걸어봐야 하지 않을 까 생각한다.